728x90 비영리단체3 반응형 [비영리단체 사무직-16] 비영리단체 부가세 신고 방법 최근 부가세 신고기간이었는데 방문자 유입 키워드가 비영리단체 부가세 신고 방법이라 궁금한 사람들이 많은 것같아서 포스팅 하기로 했다 사실 비영리단체의 부가세 신고는 다른 방법이 있는 게 아니라 과세업자와 동일하게 신고하면 된다 부가가치세 신고 기간 - 신고 마지막날이 휴무인 경우 하루 더 연장 함 명칭 과세기간 신고기간 1기 예정 부가가치세 1월 ~ 3월 4월 1일 ~ 4월 25일 1기 확정 부가가치세 3월 ~ 6월 7월 1일 ~ 7월 25일 2기 예정 부가가치세 7월 ~ 9월 10월 1일 ~ 10월 25일 2기 확정 부가가치세 10월 ~ 12월 1월 1일 ~ 1월 25일 부가가치세 산출 방법 구분 증빙명칭 공급가액 세액 + 매출 매출전자세금계산서 매출종이세금계산서 카드 매출 현금영수증 매출 - 매입 매.. 2023. 1. 29. [비영리단체 사무직-14] 이나라도움 정산 1년에 한 번하는 정산이라 매번 방법을 잊어버려서 정리해 둔 것을 참고하며 진행하곤 했다 정산을 진행하기 전 정해야 할 것이 있다 검증, 감사를 진행할 회계법인을 선정하는 것이다 (보조금을 교부받고 최소 3개월 내에 선정해야 한다) 보조금이 3억 미만이라면 검증은 선택사항이다 하지만 3억 이상이라면 검증을 진행해야 하고 보조금이 10억 이상이라면 감사도 진행해야 한다 (그러니 보조금이 10억이라면 검증과 감사 모두 진행해야 한다 수수료가 2배!) 이를 진행할 곳은 회계사사무소가 아니라 꼭 회계법인 이어야 하고 동일한 회계법인이 한 기관의 검증과 감사를 동시에 진행할 수 없다 회계법인의 선정은 상위기관이 정해주기도하고 사업을 위탁받은 업체가 직접 선정하기도 한다 정산을 앞두고 검증과 감사를 이야기하는 이유.. 2023. 1. 18. [비영리단체 사무직-8] 비영리단체에서 수익사업을 시작하는 방법 비영리단체의 사업은 목적사업이라고 부른다 때문에 그 수익도 목적사업에 쓰인다는 근거가 붙으면 수익사업이 가능하다(수익에 관한 내용이 정관에 나와야한다) 비영리 단체는 크게 비영리임의단체(개인), 비영리임의단체(법인), 비영리법인(사단법인 또는 재단법인) 세 가지로 나뉘고이 세 단체 모두 수익사업을 신청할 수 있다 다만 비영리임의단체(개인)이 수익사업을 신청하면 그 사업자는 고유번호에서 그냥 사업자등록증이 되버린다 (비영리의 성격이 사라짐) 일하고있던 센터가 위의 상황이어서 애써 다른 방법을 마련하려고 고심했다 수입 개시가 머지않아 시간이 촉박했는데 비영리를 영리로 바꿀 이유가 전혀 없었고(수익은 위탁을 준 상위사업자에게 반납해야했음) 비영리법인이 되는 것은 정말 하루이틀만에 만들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2023. 1. 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