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비영리단체사무직4 반응형 [비영리단체 사무직-11] 기안서, 지출결의서 양식 지난번 글을 쓰다 보니 양식을 선택하는데도 어려움이 컸던 것이 기억났다 회사마다 사용하는 양식은 부르는 명칭도 사용하는 모양도 다 달랐지만 결재가 진행되는 프로세스는 거의 비슷했다 어떤 사업이나 결제를 진행하기 전 승인을 요청하는 기안서 또는 품의서를 작성하고 결제 전 지출결의서를 작성하는 것 그래서 사업과 결제를 공용으로 쓰기 위해 내부공문을 쓰고 지출결의서를 작성하기로 했다 ● 기안서 : 어떤 사항의 문제해결 방안을 작성하여 결재권자에게 의사결정을 요청하는 문서 ● 품의서 : 근로자가 결재권자에게 특정한 사안에 대해 승인해 줄 것을 요청하는 일종의 상신서 ● 사내공문 : 회사내부에서 업무협조를 요청하기 위해 작성하는 서식 (회사에서는 내부공문이라고 했지만 의미가 사내공문과 동일한 것 같다) ● 지출결.. 2023. 1. 13. [비영리단체 사무직-10] 문서 이름 작성 및 문서 채번하는 방법 무슨 문서 채번하는 방법을 포스팅하나 싶을 수 있겠지만 이전에 나는 이 정보가 필요했는데 없었어서 정리하기로 했다 지출에는 품의서(또는 기안서, 또는 내부공문), 증빙, 지출결의서가 필요하고 예산을 사용하는 단체는 정산서를 제출 할 때 지출결의서 번호가 들어간 지출목록 자료를 요청받곤한다 문서 채번은 지출결의서 번호를 매기는 것이다 혹시 전자결재 시스템을 이용한다면 고민 할 것도 없이 시스템에서 매겨준다 대신 자동채번의 기준은 전자결재 시스템 별로 달랐는데 '비즈메카'는 문서 종류별로 채번이 가능했고 '더존그룹웨어'는 문서 구분 없이 부서별 문서 생산 순서대로 채번되었다 어자피 어디에 제출하든 지출결의서 번호대로 정리하는 건 없어서 상관없었다 채번 되어있는게 중요했을뿐 지출목록 자료를 제출할 때에는 최근.. 2023. 1. 9. [비영리단체 사무직-9] 비영리단체에서 진행해야하는 신고 수익사업을 하지 않는 비영리단체에서는 어떤 것을 신고해야 할까? 수익사업을 하지 않으니 신고할 것이 없다고 생각하는 단체들도 많아서 과거에는 많은 곳에서 급여를 주고도 원천세 신고를 하지 않는 곳이 있었다 대부분의 신고는 인건비와 관련된 지출증빙이라고 할 수 있다 이 페이지에서 일일이 신고방법을 설명하진 않지만 이 단어로 검색하면 신고방법을 수월하게 찾을 수 있다 ● 원천세 신고(근로소득, 기타 소득 등) - 기간 : 근로가 발생한 다음 달 10일까지 신고 또는 반년마다 신고 ● 연말정산 - 목적 : 근로자 대상 소득세와 지방소득세 계산 - 기간 : 2월 - 연말정산 후 근로소득 지급명세서 3월 10일까지 제출 ● 기타 소득자 지급명세서 신고 - 목적 : 전년도 원천신고 된 기타 소득자의 1년 소득금액 .. 2023. 1. 6. [비영리단체 사무직-8] 비영리단체에서 수익사업을 시작하는 방법 비영리단체의 사업은 목적사업이라고 부른다 때문에 그 수익도 목적사업에 쓰인다는 근거가 붙으면 수익사업이 가능하다(수익에 관한 내용이 정관에 나와야한다) 비영리 단체는 크게 비영리임의단체(개인), 비영리임의단체(법인), 비영리법인(사단법인 또는 재단법인) 세 가지로 나뉘고이 세 단체 모두 수익사업을 신청할 수 있다 다만 비영리임의단체(개인)이 수익사업을 신청하면 그 사업자는 고유번호에서 그냥 사업자등록증이 되버린다 (비영리의 성격이 사라짐) 일하고있던 센터가 위의 상황이어서 애써 다른 방법을 마련하려고 고심했다 수입 개시가 머지않아 시간이 촉박했는데 비영리를 영리로 바꿀 이유가 전혀 없었고(수익은 위탁을 준 상위사업자에게 반납해야했음) 비영리법인이 되는 것은 정말 하루이틀만에 만들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2023. 1. 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