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천세 신고에 대한 글을 쓰고 싶었지만 원천세를 신고하려면 공제되는 내역을 알아야한다. 때문에 근로소득 계산방법을 먼저 써 본다.
근로소득 계산방법
1. 기본급, 과세소득, 비과세소득 구분
2. 사대보험 산출내역 계산
3. 원천세 계산
4. 근로소득 신고
1. 기본급, 과세소득, 비과세소득 구분
설명의 이해를 돕고자 사용하고있던 급여명세표를 첨부했다.
과세, 비과세를 구분해서 급여대장에 기록하고 그 중 과세부분 합계는 월보수총액이되는데 이 금액은 사대보험과, 원천세의 산출근거가 된다.
비과세항목에 해당하는 식대, 자가운전비 등의 소득을 제외한 대부분의 소득 기본급, 초과근무수당, 상여 등의 항복은 과세가 된다. 인터넷에 급여 비과세항목 이라고 검색하면 자세히 써진 글들이 많으니 참고해서 구분하면 될 것같다.
2. 사대보험 산출내역 계산
앞서 설명했듯이 사대보험은 사이트가 굉장히 많다. 주로 이용하는 사이트는 아래와 같다.
사대보험 산출내역을 계산해서 급여명세표 공제항목에 추가한다.
(1)국민건강보험(사대보험통합징수포털)
si4n.nhis.or.kr/jpza/JpZaa00101.do
- 산출내역 조회방법 : (메인페이지) 사업장주요서비스 -> 보험료산출내역조회->원하는 보험 클릭 후 검색 -> 산출내역(개인별조회)클릭 후 엑셀파일 다운
- 사실 이 홈페이지에서 사대보험이 모두 나온다. 현재 근무하는 사업장은 사대보험을 일찍 봐야해서... 각각의 사이트를 다 방문하여 내역을 받는 편이다.
(2)국민연금(EDI서비스)
- 산출내역 조회방법 : (메인페이지) 연금보험료 결정내역 -> 보험료 결정내역 통보서(1차) -> ②가입자내역 -> 엑셀파일저장
(3)고용.산재보험 토탈서비스
- 산출내역 조회방법 : (메인페이지) >빠른 서비스 부과고지 보함료 조회(20209) -> 관리번호, 부과월 지정 후 조회 -> 산재, 고용 각각 클릭하여 당월보험료 부과내역 조회 클릭 -> 엑셀저장
- 관리번호는 사업자번호 또는 고유번호 뒤 0을 하나 더 붙이면 일반적인 관리번호가 나온다. 한 사업장에 관리번호를 추가 부여받았다면 관리번호를 확인해야한다.
사대보험을 계산하는 계산식이 있지만 도대체 무슨 문제인지 1-2원씩 차이가 날 때가 있고 예상치 못한 할인이 있으면 금액이 또 달라져 매번 조회를해서 공제하는편이다.
3. 원천세 계산
- 월마다 공제하는 소득세, 주민세는 대략의 금액이다. 연말에 최종 소득과 지출을 계산해 이를 정확히 재계산하는 과정이 연말정산이다. 원천세를 계산하는 계산식이 따로있지만 어려워서... 입력하면 자동으로 계산되어 나오는 수식을 첨부해둔 엑셀표에 넣어두었다.
- 홈택스 -> 조회/발급 -> 기타조회 -> 근로소득간이세액표 를 통해 계산할 수도 있다.
이것을 다 완료했다면 이 금액을 토대로 원천세신고를 하면 된다.
'사무실 서랍'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영리단체 사무직-6] 사대보험 취득신고 시 취득월 납부 방법 (0) | 2020.08.28 |
---|---|
[비영리단체 사무직-5] 증빙 (0) | 2020.08.14 |
[비영리단체 사무직-4] 인건비(근로소득, 기타소득) 신고 방법(2.지방세) (0) | 2020.08.11 |
[비영리단체 사무직-3] 인건비(근로소득, 기타소득) 신고 방법(1.국세) (0) | 2020.08.11 |
[비영리단체 사무직-1] 사업장에서 근로자 사대보험 취득 신고 방법 (0) | 2020.07.21 |
댓글